반응형
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금이라는 화합물을 이루는 구성 성분에 대하여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학생일 때 화학시간을 꽤 좋아했었는데,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아주 진귀한 경험을...해버렸습니다.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은 꽤나 아니 굉장히 쓸만한 것으로! 그렇다면 ㅎㅎ 포스팅 시작해보겠습니다. 새해에는 몇일간 좋은말을 마지막에 적어버리려구 합니다! 좋은 말은 나누면 더 좋아진다니까요~. 2024년 한해는 좋은일만 있으세요~
1. 소금의 구성 성분 :
- 소금, 특히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탁상용 소금은 화학적으로 '염화나트륨'이라고 불리며, 화학식으로는 NaCl로 표현됩니다.
- 나트륨 (Na):
- 나트륨은 소금의 구성 성분 중 약 39.34%를 차지합니다. 인체 내에서는 신경과 근육의 기능 유지, 체액의 양 조절, 그리고 혈압 조절 등에 필요한 중요한 미네랄입니다.
- 염소 (Cl):
- 염소는 소금의 구성 성분 중 약 60.66%를 차지합니다. 염소는 인체에서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며, 염소 이온은 위액의 필수적인 성분입니다.
- 이 두 가지 원소가 이온 결합을 이루어 소금을 형성합니다. 그 외에도,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탁상용 소금에는 요오드나 항응고제 등의 첨가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요오드:
-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에 필요한 미네랄로, 일부 지역에서는 결핍증을 예방하기 위해 소금에 요오드를 첨가합니다.
- +) 항응고제:
- 소금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외에도 소금에는 철,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미량 미네랄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미네랄은 소금의 전체 중량에 비해 매우 적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그럼에도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소금이 형성되는 메커니즘 :
- 나트륨 이온(Na+)과 염소 이온(Cl-)이 결합하여 소금을 형성하는 과정은 화학적으로 이온 결합이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이온 결합은 원자나 분자 사이에서 전자의 이동에 의해 생성되는 강력한 화학 결합입니다.
- 추가로! 이온 결합이라고 하는것에 대하여 알고있는 '얕은 정보'를 이해를 위해서 공유드립니다.
- 이온이라는 것은 쉽게는 광물이나 영양소를 구성하는 성분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실제로 눈에 보이는 광물 혹은 야채, 고체, 액체 성분들에는 이러한 이온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각각의 이온들은 중성이온, 양이온, 음이온이 있으며 중성이온을 기준으로 원자 또는 분자가 전자를 잃어서 양의 전하를 가진 상태를 양(성)이온, 반대로 전자를 얻어 음의 전하를 가진 상태의 이온을 음(성)이온이라고 합니다.
- 이들 이온들은 각각 빈자리를 몇개씩 가지고 있는데요 이 자리를 자릿수에 맞는 이온끼리 채우게되면
그것이 이온결합! - 얕은 지식이기에 ㅠㅠ 더 구체적으로 적지 못한점은 너그러이 용서해주십시오 ㅠㅠ
- 나트륨과 염소가 결합하여 소금을 형성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스빈다.
- 나트륨의 이온화:
- 나트륨 원자는 가장 바깥쪽 껍질에 위치한 1개의 전자를 쉽게 잃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이온화라고 합니다.
- 나트륨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양의 전하를 가진 나트륨 이온(Na+)이 생성됩니다.
- 염소의 전자흡수:
- 한편, 염소 원자는 전자를 얻는 것을 선호합니다. 염소 원자가 전자를 얻으면, 음의 전하를 가진 염소 이온(Cl-)이 생성됩니다.
- 이온 결합의 형성:
- 양의 전하를 가진 나트륨 이온(Na+)과 음의 전하를 가진 염소 이온(Cl-)은 서로 끌리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이온 결합입니다.
- 이 결합을 통해 나트륨과 염소는 소금(NaCl)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결합은 매우 강력하여, 소금은 높은 녹는점과 끓는점을 가지게 됩니다.
- 이렇게 형성된 소금은 물에 잘 녹으며, 전기를 잘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소금이 다양한 산업과 식품 보존, 그리고 요리 등에서 넓게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2) 소금을 구성하는 성분의 체내 역할 :
A) 나트륨(Na) :
- 나트륨은 인간의 신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필수 미네랄입니다.
- 체액 균형 유지:
- 나트륨은 신체의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세포 내외의 액체량을 조절하고, 이로 인해 혈압을 유지하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 신경 및 근육 기능 유지:
- 나트륨은 신경 전달과 근육 수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데 필요한 전기 화학적 경사를 유지하는데 기여합니다.
- 영양소의 흡수와 운반 :
- 나트륨은 몇몇 영양소, 특히 글루코스(당류)와 아미노산(단백질의 구성 성분)의 흡수와 운반에 중요합니다.
- 산-염기 균형 유지:
- 나트륨은 신체의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몸의 pH를 올바른 범위 내에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 하지만,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고혈압과 심장 질환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B) 염소(Cl) :
- 염소(Cl-)는 인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무기 이온입니다.
- 체액 균형 유지:
- 염소는 체액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염소는 혈액, 땀, 소변 등 체액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 체액의 양과 압력을 조절하는 데 필요합니다.
- 산-염기 균형 유지:
- 염소는 인체의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합니다. 이는 혈액의 pH를 정상 범위 내에 유지하는 데 필요한 과정입니다.
- 위액 생성:
- 염소는 위액의 중요한 성분입니다. 위액은 식품의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하는데, 염소 이온은 이 과정에서 필수적입니다.
- 영양소 흡수:
- 염소는 인체에서 특정 영양소의 흡수에 도움을 주는 역할도 합니다. 특히, 비타민 B12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신경 기능 유지:
- 염소는 신경 전달에 필요한 이온입니다. 이는 신경세포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전기적 활동을 유지하는데 중요합니다.
- 하지만 염소의 섭취도 과도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과다한 염소 섭취는 고혈압, 심장 질환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미네랄성분 :
- 해당 미네랄 성분들 중 소금을 이루는 주요 성분에 대하여는 하기에 추가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 미네랄은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 미네랄 성분은 에너지 생산, 신경 전달, 뼈와 치아의 구조, 신체의 수분 균형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여기에는 몇 가지 주요 미네랄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칼슘 (Ca):
- 칼슘은 뼈와 치아의 형성과 유지에 필수적이며, 신경 전달, 근육 수축, 혈액 응고에도 중요합니다.
- 철분 (Fe):
- 철분은 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산소 운반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에너지 생산과 DNA 합성에도 필요합니다.
- 마그네슘 (Mg):
- 마그네슘은 에너지 생산, 신경 전달, 근육 수축, DNA와 RNA 합성, 뼈 건강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칼륨 (K):
- 칼륨은 신경 전달, 근육 수축, 체액 균형 유지, 산-염기 균형 유지, 대사 활동에 필요합니다.
- 나트륨 (Na)과 염소 (Cl):
- 나트륨과 염소는 체액 균형과 혈압 유지, 신경 전달, 근육 기능에 중요합니다.
- 아이오딘 (I):
- 아이오딘은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에 필요하며, 이 호르몬은 성장, 발달, 대사율 조절에 중요합니다.
- 아연 (Zn):
- 아연은 면역 시스템 기능, 상처 치유, DNA 합성, 단백질 합성, 성장 및 발달에 중요합니다.
C) 칼륨(K) :
- 칼륨(K+)은 인체 내에서 다양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 미네랄입니다.
- 신경 전달과 근육 수축:
- 칼륨은 신경 전달과 근육 수축, 특히 심장 근육 수축에 필요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합니다.
- 체액 균형 유지:
- 칼륨은 세포 내부의 액체량을 조절하고, 이로 인해 신체의 수분 균형과 혈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산-염기 균형 유지:
- 칼륨은 인체의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합니다. 이는 혈액의 pH를 정상 범위 내에 유지하는 데 필요한 과정입니다.
- 대사 활동:
- 칼륨은 단백질 합성과 탄수화물을 에너지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대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뼈 건강 유지:
- 칼륨은 뼈와 치아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칼륨은 칼슘의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어 골다공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칼륨도 과다 섭취하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들은 과도한 칼륨을 제거하지 못해 혈액 내 칼륨 수준이 너무 높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심장 리듬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D) 마그네슘(Mg) :
- 마그네슘(Mg)은 인체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 미네랄입니다.
- 에너지 생산:
- 마그네슘은 ATP(아데노신 삼인산)와 같은 에너지 분자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TP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를 제공하는 주요 분자입니다.
- DNA와 RNA 합성:
- 마그네슘은 DNA와 RNA, 즉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분자의 합성에 필요합니다. 이로 인해 세포의 성장과 분열이 이루어집니다.
- 신경 전달과 근육 수축:
- 마그네슘은 신경 전달과 근육 수축에 필요한 이온입니다. 이는 신경세포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전기적 활동을 유지하는데 중요합니다.
- 단백질 합성:
- 마그네슘은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효소 활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 뼈 건강 유지:
- 마그네슘은 칼슘과 함께 뼈와 치아의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마그네슘은 비타민 D의 활성화에도 필요하여, 뼈 건강에 이중적으로 중요합니다.
- 하지만 마그네슘도 과다 섭취하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들은 과도한 마그네슘을 제거하지 못해 혈액 내 마그네슘 수준이 너무 높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E) 아연(Zn) :
- 아연(Zn)은 인체에서 다양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 미네랄입니다.
- 면역 시스템 기능:
- 아연은 면역 시스템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아연은 특히, T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의 성장과 활성화에 필수적입니다.
- 단백질 합성과 분해:
- 아연은 단백질 합성과 분해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DNA 합성과 RNA 합성:
- 아연은 DNA와 RNA의 합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는 세포의 분열과 성장, 그리고 유전 정보의 복사와 전달에 중요합니다.
- 상처 치유:
- 아연은 상처 치유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피부와 점막의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 유지에 필요하며, 상처가 난 후에는 새로운 피부 세포의 생성을 촉진합니다.
- 성장과 발달:
- 아연은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아연은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필수적입니다.
- 후각과 미각 유지:
- 아연은 미각과 후각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에 중요합니다.
- 하지만 아연도 과다 섭취하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신장 기능이 약한 사람들은 과도한 아연을 제거하지 못해 혈액 내 아연 수준이 너무 높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신체의 다른 미네랄 균형을 교란할 수 있습니다.
F) 철분 :
- 철분(FE)은 인체에서 다양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 미네랄입니다.
- 산소 운반:
- 철분은 헤모글로빈의 핵심 구성 요소로, 이는 적혈구가 산소를 운반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미오글로빈이라는 다른 단백질도 철분을 필요로 하며, 이는 근육 세포에서 산소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데 중요합니다.
- 에너지 생산:
- 철분은 세포의 에너지 생성 과정인 세포 호흡에 필요한 여러 효소의 활성화에 필요합니다.
- DNA 합성:
- 철분은 DNA 합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는 세포의 분열과 성장, 그리고 유전 정보의 복사와 전달에 중요합니다.
- 면역 시스템 기능:
- 철분은 면역 시스템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철분은 특히, 흰혈구의 성장과 분화, 그리고 면역 반응에 필수적입니다.
- 철분 섭취는 균형이 중요합니다. 철분이 부족하면 빈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과다 섭취는 철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ㅠㅠ 알아보기 쉬우시게 색칠을! 꼼꼼히 해야하는데, 밖에 나와있는데 배터리충전기의 고장 이슈로 인하여 끝까지 표시를 하지 못할 것 같아요... 어서 충전기를 새로 구매를 시켜서 단디 표시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오늘 하루도 연초의 출근으로 인하여 힘드셨을 모든 분들, 고생 많으셨습니다. 연초에는 저녁시간 휴식이 최고라고 제 머리가 말하고 있습니다.. ㅎㅎ 그러니 저녁시간에는 푹 휴식을 취하시며 힐링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찾아뵙겠습니다. 편안한 밤 보내세요~
반응형
'건강관리 > 식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5부. 소금 : 소금의 체내 동작 메커니즘(동작 방식) (47) | 2024.01.10 |
---|---|
18-4부. 소금 : 소금의 효능(효과) (21) | 2024.01.09 |
18-2부. 소금 : 소금의 종류 (22) | 2024.01.01 |
18-1부. 소금 : 구성 성분, 저염 등 잘 알고 먹는 것이 중요한 조미료 (49) | 2023.12.30 |
17부. 건강을 위한 식재료의 선택 (45) | 202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