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나트륨4

26-3부. 날씨가 더운 나라에서 소금을 많이 섭취하는 이유, 짠 음식이 땡기는 이유 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평소에 소금섭취와 관련하여 궁금했던 점을 이어서 작성할 예정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소금의 섭취 권장량은 정해져 있고, 그에 맞추는 것이 가장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소금 섭취량은 기후나 환경, 문화적인 이유 그리고 하는 일에 따라서도 달라져야 합니다. 그래서 제가 추구하는 바는 '짭짤하게 먹어도 걱정이 없게 섭취하자'입니다. 이와 관련되어, 날씨가 더운 나라에서 소금을 많이 섭취하는 이유와 평소 소금이 '당기는' 이유에 대하여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낮에 시작했는데, 저녁에 끝나는 마술 같은 일이 벌어졌지만! 그래도 사실, 저는 내일 회사를 가지 않거든요! 절대로 약 올리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오늘 더 열심히 살겠.. 2024. 4. 4.
18-6부. 소금 : '저염'의 의미 및 실천 (1부) 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금에 대하여 화두가 많이 되는 '저염'에 대하여 글을 작성해 볼 예정입니다. 저염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어떠한 내용들이 있는지에 대하여 작성해보겠습니다~ 1. '저염'의 의미 : '저염'은 '저(낮은) 염(염분, 소금)'의 줄임말로, 적절한 소금 섭취를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 몸에 필요한 소금을 섭취하는 것은 물론, 과도한 소금 섭취로 인한 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저염에 대하여 논하기 위해서는 체내의 나트륨-칼륨의 균형에 대한 언급이 필요합니다. 체내에서 나트륨과 칼륨의 균형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두 가지 이온은 신체의 수분 균형, 혈압 조절, 신경 및 근육 기능 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나트륨은 체액의 양을 조.. 2024. 1. 12.
18-5부. 소금 : 소금의 체내 동작 메커니즘(동작 방식) 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될 수 있는 소금 관련 내용을 작성해 볼 예정입니다. 소금에 대하여 정보를 찾아가다 보니 뭔가.. 소금 전문가가 되어가는 느낌에 약간 이상한 뿌듯함이 생겨가는 하루입니다~ 웃지 말아 주세요..ㅎㅎ 그럼 포스팅 시작해 보겠습니다~ 1. 소금의 체내 동작 메커니즘(나트륨, 칼륨이온) : 나트륨 이온(Na+)과 칼륨 이온(K+)은 세포막을 통과하는 주요 이온으로, 세포막 전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세포 내외의 나트륨 이온과 칼륨 이온 농도 차이는 세포막 전위를 생성하며, 이는 신경 전달과 근육 수축 등의 생리적 과정에 필요합니다. 1) 세포막 : 세포막은 세포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세포 내부와 외부 환경을 분리.. 2024. 1. 10.
18-3부. 소금 : 소금의 구성 성분 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금이라는 화합물을 이루는 구성 성분에 대하여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학생일 때 화학시간을 꽤 좋아했었는데,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아주 진귀한 경험을...해버렸습니다.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은 꽤나 아니 굉장히 쓸만한 것으로! 그렇다면 ㅎㅎ 포스팅 시작해보겠습니다. 새해에는 몇일간 좋은말을 마지막에 적어버리려구 합니다! 좋은 말은 나누면 더 좋아진다니까요~. 2024년 한해는 좋은일만 있으세요~ 1. 소금의 구성 성분 : 소금, 특히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탁상용 소금은 화학적으로 '염화나트륨'이라고 불리며, 화학식으로는 NaCl로 표현됩니다. 나트륨 (Na): 나트륨은 소금의 구성 성분 중 약 39.34%를 차지합니다. 인체 내에서는 .. 2024.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