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에 언급드렸던 혈관, 그리고 심장 동작의 메커니즘을 비교적 쉽게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체의 혈관 시스템:
인체의 혈관은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우리 몸 전체에 필수적인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인체의 혈관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혈관의 종류 :
- 혈관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동맥, 정맥, 그리고 모세혈관입니다.
- 동맥(Arteries): 동맥은 산소가 풍부한 피를 심장에서 몸 전체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동맥인 대동맥(aorta)는 심장에서 시작되어 몸 전체로 갈라져 나갑니다.
- 정맥(Veins): 정맥은 산소가 거의 없는 피를 몸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심장으로 되돌려 보냅니다. 이들은 작은 분기들에서 시작하여 점점 더 큰 정맥으로 합쳐집니다.
- 모세혈관(Capillaries): 모세혈관은 매우 얇고 작아서 피액과 주변 조직 사이에서 물질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이러한 혈관의 종류에 대하여 조금만 더 세부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동맥 :
- 동맥(Artery)이란, 심장에서 나와서 인체 전반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입니다.
- 일반적으로 동맥의 혈액은 산소가 풍부하여 붉게 보이지만, 폐동맥 등 일부 예외는 이산화탄소가 많아서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 대동맥(Aorta) : 심장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가장 큰 동맥으로, 신체 전체로 핏줄을 공급합니다. 대동맥은 아치형태로 굽어져 있으며 다양한 분기들이 여러 부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뇌동맥(Cerebral Arteries) : 뇌로 핏줄을 공급하는 동맥입니다. 뇌에는 전반적인 기능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산소 공급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동맥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 심장동맥(Coronary Arteries) : 심장 자체에 핏줄을 공급하는 동맥입니다. 심장도 다른 기관처럼 산소와 영양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동맥의 건강 상태가 매우 중요합니다.
- 교감신경계를 통해 조절되는 동맥벽의 수축과 이완으로 인해 혈압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혈압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종종 그 원인이 동맥 내 벽의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 다양한 종류의 동맥들 각각은 인간 몸에서 주어진 역할과 임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하나가 원활하게 기능하지 않으면 그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생깁니다.
- 예를 들어, 심장동맥이 막혀서 혈액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장질환을 유발하며, 뇌동맥의 문제는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여러 종류의 동맥은 심장에서 나와 산소와 필요한 영양분을 우리 몸의 각 부분에 전달합니다.
정맥 :
- 정맥(Vein)이란 신체의 각 부분에서 수집된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혈관입니다. 정맥 속의 혈액은 산소가 거의 없기 때문에 보라색 또는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 정맥은 크게 깊숙한 곳에 위치한 '심부 정맥'과 표면 가까이 위치한 '표재 정맥'으로 나뉩니다. 대표적인 정맥들로는 하부 대정맥(Inferior Vena Cava), 상부 대정맥(Superior Vena Cava), 폐정맥(Pulmonary Veins) 등이 있습니다.
- 상부 대정맥과 하부 대정맥 : 몸에서 가장 큰 두 개의 정맥입니다.
- 상부 대정모는 몸의 위쪽 부분(머리와 팔)에서 오는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고, 하부 대모는 몸의 아래쪽 부분(다리와 복부)에서 오는 혈액을 심장으로 반환합니다.
- 그 다음으로 폐정모들은 다른 모든 정모들과 달리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운반합니다. 이들은 폐에서 산소를 받아온 후, 이를 다시 심장으로 반환하여 신체 전체로 공급하게 됩니다.
- 각각의 정모들은 그 자신만의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만일 어느 한 곳이라도 문제가 발생한다면 전체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예를 들어, 깊숙한 임상병증(DVT: Deep Vein Thrombosis)은 심부 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상태로, 이는 폐색혈관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정맥은 산소가 거의 없는 혈액을 신체 각 부분에서 모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며, 이 과정에서 대사 산물과 같은 폐기물도 함께 제거합니다.
모세혈관 :
- 모세혈관(Capillaries)은 우리 몸에서 가장 작은 형태의 혈관으로, 동맥과 정맥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연결 고리와 같습니다.
- 모세혈관의 주요 기능은 산소와 영양분 등 필요한 물질들을 세포로 전달하고, 대사 산물과 같은 폐기물을 세포로부터 수거하는 것입니다.
- 모세혈관의 벽은 매우 얇아서 세포와 직접적인 물질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모세혈관 내부를 통과하는 적혈구들이 주변 세포와 교류할 수 있게 되며, 이 과정에서 산소와 영양분 등 필요한 물질들이 세포로 전달되고 대사 산물 등 폐기물이 체외로 배출됩니다.
- 모세혈관은 크게 지속성(Persistent), 교류성(Intermittent), 폐쇄성(Closed)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기능과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지속성 모세혈관 : 계속해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활동하며, 교류성 모세혈관은 환경 변화에 따라 열거나 닫는 등 활동 상태가 변화합니다.
- 반면 폐쇄성 모세혈관 : 일반적으로 비활동 상태를 유지하지만 특정 조건 하에서만 활동합니다.
- 모든 종류의 모세혈관이 건강해야 용수처럼 움직일 수 있는 인체의 복잡한 혈관 네트워크가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산소와 영양분이 필요한 곳에 제시간에 도달하고, 대사 산물과 같은 폐기물이 체외로 제거되어 인체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모세혈관은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관입니다. 그들은 세포와 물질 교환의 주요 장소로서, 산소와 영양분 등 필요한 물질들을 세포로 전달하고 대사 산물 등 폐기물을 체외로 배출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 혈관 시스템의 기능 : 산소와 영양분을 세포에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폐기물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또한, 체온 조절과 호르몽 및 다른 신호 분자들의 운반 등 다른 여러 기능도 수행합니다.
- 위에서 기술한 것 처럼 혈관은 크게 동맥, 정맥, 모세혈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들의 동작에 따라서 체내의 혈액이 몸을 순환하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난 포스팅에서 조금은 어렵고 복잡하게 설명이 되었던 심장의 이완과 수축에 대하여 각각의 혈관을 중심으로하여 다시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심장의 이완과 수축 :
- 심장의 기능과 혈관 시스템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들의 상호 작용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 심장의 주된 기능은 혈액을 몸 전체로 펌핑하는 것입니다.
- 심장이 수축하는 과정(수축기)에서는 산소와 영양분을 가진 혈액이 동맥을 통해 몸 전체로 퍼져 나갑니다.
- 반면에 심장이 이완하는 과정(이완기)에서는 산소가 소진되고 대사 산물로 가득 찬 혈액이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되돌아옵니다.
- 동맥은 심장에서 나와서 인체 전반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동맥의 벽은 두껍고 강력하게 수축하여 심장에서 나오는 높은 압력의 혈액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이 수축할 때, 동맥 벽도 함께 수축하여 혈액을 몸 전체로 밀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 반대로 정맥은 각 부위에서 모아진 '피곤한' 혈액, 즉 산소가 거의 없고 대사 폐기물로 가득 차 있는 혈액을 다시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정맥 벽은 비교적 얇으며, 내부에 판상판 (valves)라 불리우는 작은 구조물들이 있어서 한 방향으로만 혈액이 흐르도록 합니다.
- 따라서 신체 활동 중 움직임과 함께 발생하는 압력 변화를 활용하여 '피곤한' 혈액들을 다시 맨 위인 신체 중심부 '심장'으로 보냅니다.
- 마지막으로, 모세혈관은 동맥과 정맥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연결 고리입니다. 모세혈관의 주요 기능은 세포와 물질 교환의 주요 장소로서, 산소와 영양분 등 필요한 물질들을 세포로 전달하고 대사 산물 등 폐기물을 체외로 배출하는 것입니다.
- 실제로, 이러한 물질 교환은 신체 내 모든 생명 활동의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 심장의 수축과 이완 동작은 혈액 순환에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우리 몸의 각 부위는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받아 생명 활동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대사 산물과 같은 폐기물도 체외로 배출되어 몸의 환경이 깨끗하게 유지됩니다.
결론 :
고혈압, 저혈압이라는 질환을 정리하려다보니 저도 이해가 어렵고, 귀한 시간을 내서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 또한 그러한 어려움을 겪으실 가능성이 '조금' 있을 것 같아서 혈관의 종류와 역할, 그리고 심장의 동작에 대하여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이렇게 중간중간 필요한 부분을 추가적으로 정리하여 글을 읽어주시는 동안 조금은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일요일, 내일은 월요일...이지만 그래도 ㅎㅎ 다음 한주는 추석이 끼어있으니 금방 지나갈거예요! 그러니 다음 한주도 행복하고 즐겁게 보내세요~
반응형
'건강관리 > 성인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부. 저혈압 : 산소 공급책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0) | 2023.09.26 |
---|---|
4-2부. 고혈압 : 많은 질환들의 합병증이자, 원인 (0) | 2023.09.25 |
4부. 혈압 : 고혈압, 저혈압 등 성인병의 주 원인 (1) | 2023.09.23 |
3-3부. 신장 질환의 치료 방법 : 신부전 질환 (0) | 2023.09.23 |
3-2부. 신장 질환의 위험성 (0)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