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 입니다. 지난 포스팅의 고혈압에 이어서, 반대되는 케이스인 저혈압에 대하여 글을 작성해 볼 예정입니다. 고혈압에 비하여 위험하지 않다는 인식이 크지만, 저혈압 역시 신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해보겠습니다~
저혈압 :
저혈압은 혈관 내에서 흐르는 혈액의 압력이 평소보다 낮아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혈압 범위는 120/80mmHg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보다 낮은 수치를 보일 경우 저혈압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저혈압의 원인 :
- 저혈압의 원인은 다양하며, 생활 습관부터 심각한 질병까지 다양한 요소가 관련됩니다.
- 급격한 체중 감량, 장기간의 부족한 수분 섭취 등 생활습관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추가로 심장 질환, 내분비 장애 등도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저혈압인지 어떻게 알아차릴까?
- 흔히 '헤롱헤롱함'과 같은 불명확한 증상들 때문에 자신이 저형인지 파악하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피곤함, 명치(어지러움), 실신 등이 있습니다.
저혈압의 위험성 :
- 저혈압 상태가 지속되면 심장, 뇌, 그리고 다른 중요한 기관들로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어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저혈압인데 왜 위험할까? :
- 저혈압의 경우에는 영양소 및 산소가 체내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으므로 실신, 빠른 심장 박동 등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가장 심각한 경우엔 충격 상태라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언제 의료 도움이 필요한가? :
- 만일 자주 어지럽거나 피곤함을 느낄 때, 특히 일어나거나 웅크린 후에 그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갑작스럽게 실신하는 등의 증상도 의심의 여지 없이 의료 도움을 청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심장에 미치는 영향
- 심장은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얻지 못하게 되며, 이는 결국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저혈압과 심부전
- 심부전은 심장이 몸 전체에 충분한 피를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저혈압인 경우, 필요한 만큼의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한 심장은 기능이 점차 약화되며, 결국엔 산소와 영양분이 부족한 피만 공급하게 됩니다.
- 특히, 지속적인 산소 및 영양소 공급 부족으로 인하여 심장 세포들이 손상 받으면서 정상적인 펌핑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심부전(heart failure)이 발생하게 됩니다.
동맥과 혈관에 미치는 영향 :
- 저혈압인 상태에서는 특정 부위의 근육이나 조직들은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받지 못하게 됩니다.
- 근육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 :
- 동맥 및 기타장기로부터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 공급을 받지 못하면 근육 및 조직은 정상적인 기능 수행에 문제를 겪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결국 그 부위의 세포들은 손상받거나 죽어버릴 수 있습니다.
뇌에 미치는 영향 :
- 저혈압인 상태에서 가장 위험한 것 중 하나가 바로 '뇌'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이미 부담 받고 있는 우리의 대뇌에 충분한 산소 공급이 되지 않으면 기능 저하 및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치매 등의 진행성 질환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저혈압과 대뇌 기능 저하
- 산소와 필수 영양소 공급 부족은 우리 대뇌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합니다. 오랜 시간동안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대뇌 세포들은 손상받거나 죽어버릴 수 있습니다. 이런 변화가 일어나면 학습 및 기억 등 다양한 인지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고혈압과 저혈압은 반대되는 메커니즘으로 동작하지만 하기와 같은 상황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드리고 싶습니다.
- 고혈압인 사람들이 저혈압인가?
- 혈압이 높은 혹은 낮은사람들 모두 건강 위험이 있으며, 때로는 한 사람 안에서도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인 사람들이 약물 치료 등으로 인해 급격하게 혈압을 낮출 경우 임시적으로 저혈압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결론 :
고혈압, 저혈압을 다룸에 있어 많은 분들은 고혈압만이 위험하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더러 있는 것 같습니다. 저희 아버지도 고혈압으로 인하여 다른 질환들의 치료가 어려웠는데요. 하지만 곁에서 아버님을 보고 생각했던 것은 고혈압은 약으로 임시적인 치료가 가능하지만, 저혈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기에, 고혈압뿐만 아니라 저혈압도 조기에 예방하고 대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날씨가 좀 추웠는데 이제 긴팔을 슬슬 꺼내야 될 것 같습니다. ㅎㅎ 환절기니까 모두 감기 조심하세요!
반응형
'건강관리 > 성인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부. 고지혈증 발생 메커니즘 (4) | 2023.10.03 |
---|---|
5부. 고지혈증 : 고혈압, 고혈당과 함께 혈관의 3대 질환 (4) | 2023.09.28 |
4-2부. 고혈압 : 많은 질환들의 합병증이자, 원인 (0) | 2023.09.25 |
4-1부. 혈관의 종류 및 심장 동작의 메커니즘 (2) | 2023.09.24 |
4부. 혈압 : 고혈압, 저혈압 등 성인병의 주 원인 (1)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