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조현병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해당 정신질환은 2011년도에 '정신분열증'이라는 명칭에서 '조현병'으로 명칭이 변경된 질환인데요! 받아들여지는 어감이나 느낌이 훨씬 가벼워진 것 같아서 좋은 것 같습니다! ㅎㅎ 이번주는 유난히 바쁘네요..ㅠㅠ 그리고 오늘은 너무 춥습니다! 그러니 갑자기 다시 찾아온 추위에 감기가 걸리시지 않도록 건강 조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조현병 : 개요
조현병은 정신분열병으로도 알려져 있는 복합적인 정신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환자의 생각, 감정,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면 일상생활을 크게 방해하게 됩니다. 조현병은 일반적으로 성인 초기에 처음 발병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증상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환각: 환각은 환자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듣거나 보거나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장 흔한 형태는 청각 환각으로, 환자는 다른 사람들이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듣습니다.
2) 망상: 망상은 환자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믿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믿음은 매우 강력하여,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증거가 제시되어도 환자는 믿음을 버리지 않습니다.
3) 생각의 혼란: 이것은 환자가 일관성 없이 생각하거나,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화 중에 주제가 불합리하게 바뀌거나, 말이나 행동이 이해하기 어렵게 나타날 때 볼 수 있습니다.
4) 의사소통의 어려움: 환자는 종종 정상적인 대화를 이해하거나 참여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이는 생각의 혼란이나 망상 때문일 수 있습니다.
5) 정서적인 둔감: 환자는 종종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거나, 일상적인 활동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조현병의 증상 :
1) 환각 :
- 조현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인 '환각'은 환자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자극에 대해 인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환각은 모든 감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조현병에서는 특히 청각 환각이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 A) 청각 환각:
- 환자는 다른 사람들이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듣습니다.
- 이러한 소리는 종종 명령형이며, 환자에게 행동을 지시하거나, 비난하거나, 위협하기도 합니다.
- 때로는 환자가 자신의 생각을 듣는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 B) 시각 환각:
- 시각 환각은 환자가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보는 것을 포함합니다.
- 이는 사람, 빛, 무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C) 촉각 환각:
- 촉각 환각은 환자가 피부에 무언가가 기어가는 것처럼 느끼는 것을 포함합니다.
- D) 후각 환각 및 미각 환각:
- 이러한 환각은 덜 흔하지만, 환자는 존재하지 않는 냄새를 맡거나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 환각은 매우 실제적으로 느껴지므로, 환자에게는 매우 혼란스럽고 두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 환각에 대한 이해는 환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합니다.
- 환각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며, 일부 환자는 환각이 자신의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통해 환각 증상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2) 망상 :
- 조현병에서 나타나는 '망상'은 환자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믿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이러한 믿음은 객관적인 증거에도 불구하고 환자에게는 매우 현실적으로 느껴지며, 강한 믿음을 유지합니다.
- 망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A) 추적 망상:
- 환자는 자신이 다른 사람이나 기관에 의해 감시되거나 추적되고 있다고 믿습니다.
- 이러한 망상은 종종 공포감과 불안을 유발합니다.
- B) 대인관계 망상:
- 환자는 특정 사람이 자신을 사랑하거나, 자신에게 적대적이거나, 자신을 해치려고 하고 있다고 믿을 수 있습니다.
- C) 크기 망상:
- 환자는 자신이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유명한 사람이거나, 역사적인 인물이라고 믿을 수 있습니다.
- D 몸에 대한 망상:
- 환자는 자신의 몸이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고 믿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환자는 자신이 무엇인가에 감염되어 있다거나, 자신의 몸 안에 이상한 물체가 있다고 믿을 수 있습니다.
- 망상은 환자의 일상 생활과 대인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환자는 자신의 믿음이 진실이라고 확신하기 때문에, 이를 반박하려는 시도는 종종 환자를 공격적이거나 방어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통해 망상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환자가 일상생활을 더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능합니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와 심리 치료를 포함합니다.
3) 생각의 혼란 :
- 조현병의 주요 증상 중 하나인 '생각의 혼란'은 환자의 생각과 말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일관성이 없게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이 증상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A) 불연속적인 생각:
- 환자의 생각은 논리적인 순서나 연결성 없이 무작위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 이로 인해 대화가 혼란스러워질 수 있으며, 환자의 말이 무슨 의미인지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 B) 추상적인 개념의 이해 어려움:
- 환자는 종종 추상적인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이해하거나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그들은 구체적인 사실이나 세부사항에 집착하며, 이는 대화를 이해하거나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C) 공상적인 생각:
- 환자는 종종 현실과는 거리가 먼, 복잡하고 비현실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 D) 적절하지 않은 연결:
- 환자는 종종 서로 관련이 없는 개념이나 사건을 연결시키려고 시도합니다.
- 이는 종종 환자의 말이 혼란스러워 보이게 만듭니다.
- 이러한 생각의 혼란은 환자가 일상적인 상황에서 의사소통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듭니다.
- 그러나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통해 이러한 증상을 관리하고, 환자가 일상 생활을 더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능합니다.
-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와 심리 치료를 포함합니다.
4) 정서적인 둔감 :
- 조현병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둔감'은 환자가 감정을 적절하게 경험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이 감소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 이는 흔히 '감정의 플랫닝' 또는 '감정의 무감각'으로도 불립니다.
- 정서적 둔감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A) 감정 반응의 부족:
- 환자는 적절한 감정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상황이 웃음을 요구하더라도 환자는 웃지 않거나, 슬픔을 느껴야 할 상황에서도 환자는 슬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B) 감정의 표현의 부족:
- 환자는 감정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이는 얼굴 표정, 몸짓, 톤 등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칩니다.
- C) 흥미나 즐거움의 감소:
- 환자는 일상적인 활동이나 취미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이로 인해 환자는 사회적 활동이나 취미 활동을 중단하거나, 모든 것이 '무색하다'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
- 정서적 둔감은 환자의 삶의 질과 대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환자는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데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통해 환자가 감정을 더 잘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능합니다.
- 이는 심리 치료, 특히 인지 행동 치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3. 조현병이 신체에 주는 영향 :
조현병 자체는 신체적인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아닙니다. 하지만, 조현병의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들은 다양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요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체중 증가:
- 많은 항정신병 약물들은 체중 증가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이는 당뇨병, 고혈압, 심장 질환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2) 신체 운동능력 저하:
- 몇몇 항정신병 약물들은 몸의 운동능력을 저하시키는 부작용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이는 경직, 떨림, 불안정한 걸음걸이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내분비 변화:
- 일부 항정신병 약물들은 프로락틴 수치 상승, 성호르몬 수치 변화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이는 월경 불규칙, 유방 분비, 성욕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심장 문제:
- 일부 항정신병 약물들은 심장 리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 이는 심한 경우 심장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5) 대사 증후군:
- 체중 증가, 고혈압, 당뇨병 등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대사 증후군의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기타 다양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약물 치료를 받는 환자는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상담을 통해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현병은 예전보다 발생횟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앓고 계신 분들이 간간이 계시는 것 같아요. 무서운 질환이며 또한 슬프고 힘든 질환이 될 수 있기에 미리미리 예방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번주는 정말 정말... 자리에 앉을 시간도 없었는데요! 제가 대신 다 바쁜 거로 할 테니 ㅎㅎ 여러분들은 편안한 한 주가 되셨기를 바랄게요~ 남은 저녁시간 행복하고 편안하게 보내세요~
'건강관리 >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3부. 조현병의 치료 방법 (42) | 2024.02.20 |
---|---|
23-2부. 조현병의 진단 방법 (69) | 2024.02.17 |
22-4부. 공황장애의 치료 방법 (75) | 2024.02.12 |
22-3부. 공황장애의 진단 방법 : 물리적, 심리적 평가 및 DSM-5에 의한 진단 (61) | 2024.02.11 |
22-2부. 공황장애 : 특정상황에서의 극대화되는 불안감 (93)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