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정신건강

20-2부. 정신 질환과 인간의 뇌 : 정신 질환과 '뇌'의 상관관계

by Routinee 2024. 1.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 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정신 질환의 종류에 대하여 글을 작성했었는데요, 이번 포스팅부터 하나하나씩 파헤쳐 볼 예정입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우울증'에 대한 글을 쓰기 이전에! 정신 질환과 뇌에 대하여 '먼저 + 간단히' 작성을 해보려고 합니다. 조금은, 사실은 많이 어려운 내용이 될수도 있지만 재미로 슥 읽으시면서 흥미를 조금 가지셨으면 좋겠어요..... ㅎㅎ 그럼 포스팅 시작해보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하게 보내셨는지요?! ㅎㅎ

뇌가 큰 조형물...ㅎㅎ

1. 정신 질환과 뇌 :

정신 질환의 권위자분들... 유명하신 박사, 의사 선생님들의 발톱만큼도 안되는 지식을 방출하게 될테지만! 그래도 열심히 작성을 해보겠습니다. 정신 질환이라는 것은 주로 '인간의 뇌'와 관련이 많습니다. 그 중 너무 어려운 것들은 지양하면서 내용을 공유드려보겠습니다! 인간의 뇌와 정신 질환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뇌는 우리의 생각, 감정, 행동을 제어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므로, 뇌의 기능이나 구조에 문제가 생기면 다양한 정신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뇌의 화학물질:

  • 뇌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생성하고 이들을 통해 신경 세포 간에 정보를 전달합니다.
  • 이 화학물질들은 신경전달물질이라고 부르며,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이 있습니다.
  •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은 우리의 감정, 행동, 사고 등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은 우울증, 불안 장애, 조현병 등 다양한 정신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A) 세로토닌:

  • 세로토닌은 우리의 기분, 우울감, 불안감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 세로토닌 수준이 낮으면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B) 도파민:

  • 도파민은 우리의 보상과 행복감, 기분, 동기부여, 집중력 등을 조절합니다.
  • 도파민 수준이 높으면 조현병을, 낮으면 우울증이나 파킨슨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C) 노르에피네프린:

  • 노르에피네프린은 뇌에서 기억, 감정, 집중력 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수준이 낮으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D) GABA (감마-아미노부티르산):

  • GABA는 뇌의 흥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우리를 진정시키고, 불안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 GABA 수준이 낮으면 불안 장애, 패닉 장애, 불면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E) 글루타메이트:

  • 글루타메이트는 뇌의 흥분을 증가시키는 신경전달물질로, 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그러나 이 수준이 너무 높으면 조현병, 자폐증, 우울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전달물질들은 뇌의 기능과 우리의 행동,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들의 불균형은 다양한 정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조절하는 약물이나 치료법이 사용됩니다.

2) 뇌의 구조:

  • 뇌의 특정 부위가 손상되거나 기능이 약화되면 그에 따라 특정한 정신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히포캠퍼스라는 뇌 부위는 기억과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부위가 손상되면 알츠하이머병 같은 기억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전두엽은 우리의 판단력, 행동, 인지 능력 등을 제어하는데, 이 부위의 문제는 주의력 결핍 과다 활동 장애(ADHD)나 조현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인간의 뇌는 엄청나게 많은 구성성분이 있기 때문에 정신 질환과 관련된 부분만 뽑아내어 공유드리겠습니다!

  • 인간의 뇌는 우리의 행동, 감정, 생각을 제어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특정한 뇌 구조의 기능이나 구조에 문제가 생기면 다양한 정신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뇌의 주요 구조와 그들이 담당하는 기능들을 알아야 합니다.

A) 전두엽:

  • 전두엽은 뇌의 가장 앞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복잡한 인지 기능, 결정력, 사회적 행동, 성격 등을 조절합니다.
  • 예를 들어, 주의력 결핍 과다 활동 장애(ADHD)전두엽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또한, 조현병 환자 경우 전두엽의 활동이 정상보다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B) 편도체:

  • 편도체는 뇌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우리의 감정 상태와 관련있습니다.
  • 편도체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불안, 공포 반응을 유발하며, 이는 불안 장애나 공황장와 관련이 있습니다.

C) 히포캠퍼스:

  • 히포캠퍼스는 기억과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부위가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면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기억 장애를 유발할 수습니다.
  • 또한,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 환자에서는 히캠퍼스의 크기가 정상보다 작은 것으로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D) 베실리아 갱리아:

  • 베실리아 갱리아는 우리의 운동, 학습, 기억, 감정 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이 부분의 문제는 투레트 증후군, 강박 장애, ADHD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E) 신경전달물질:

  • 또한, 뇌의 신경 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의균형도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불균형하게 분비되면 우울증, 불안 장애, 조현병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뇌의 연결성:

뇌는 수많은 신경 세포들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입니다. 이러한 연결성이 무너지거나 약화되면, 뇌의 정보 처리 능력이 저하되어 정신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울증 환자들의 뇌에서는 특정 신경 회로의 연결성이 약화된 것이 관찰되곤 합니다.

  • 뇌는 약 860억 개의 신경 세포, 즉 뉴런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 연결성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기능을 가능하게 합니다.
  • 뇌의 연결성에 대해 이해하려면 먼저 '신경 회로'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A) 신경회로 :

  • 신경 회로란 특정 뉴런 집단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처리하는 경로를 말합니다.
  • 예를 들어, 우리가 사과를 보면 그 정보는 눈으로부터 시각 피질로 전달되고, 이후에는 관련된 다른 뇌 부위(색, 형태, 의미 등을 처리하는 부위)로 전달되는 신경 회로를 통해 처리됩니다.
  • 이런 신경 회로는 뇌에서 수많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고, 서로 다른 정보를 통합하여 복잡한 행동이나 생각을 생성하는데 필요합니다.
  • 예를 들어, 우리가 자전거를 타려면 균형 감각, 운동 제어, 시각 정보, 기억 등을 동시에 처리하고 통합해야 합니다.
  • 이런 복잡한 처리가 가능한 것은 다양한 신경 회로의 연결성 덕분입니다.

B) 뇌의 연결성의 역할 :

  • 또한, 뇌의 연결성은 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면 뉴런 사이의 연결성이 강화되고, 이는 기억의 기본적인 기능을 하는 '시냅스'라는 구조의 변경으로 이루어집니다.
  • 하지만, 이 연결성이 잘못되거나 손상되면 다양한 정신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에서는 특정 신경 회로의 연결성이 약화되거나, 조현병에서는 특정 신경 회로의 연결성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곤 합니다.

이 연결성의 이상은 다양한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C) 뇌의 연결성과 관련된 정신 질환 :

기본 신경 회로:

  • 이 신경 회로는 뇌의 여러 부분을 연결하며, 우리의 기본적인 감정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 이 회로의 이상은 우울증, 불안 장애, 조현병 등의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 특히, 기분 조절에 관여하는 전두엽과 편도체 간의 연결성 이상이 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상 신경 회로:

  • 이 신경 회로는 보상과 행복감, 동기 부여와 관련이 있습니다.
  • 이 회로는 특히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사용하는데, 이 회로의 이상은 중독, 주의력 결핍 과다 활동 장애(ADHD), 조현병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공포 조절 신경 회로:

  • 이 회로는 공포 반응과 스트레스 반응을 제어합니다.
  • 이 회로의 이상은 불안 장애, 공황장애, 포스트트라우마틱 스트레스 장애(PTSD)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사회 인지 신경 회로:

  • 이 신경 회로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사회적 상황을 판단하는 데 중요합니다.
  • 회로의 이상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사회 불안 장애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위에 있는 이름이 어려운 놈들...은 이런 것들이 있구나! 하고, 뇌가 이런 기능들을 하고 있었구나!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다만, 뉴런이나, 시냅스, 편도체 같은 가장 작은 단위의 놈들은 알아두시면 두고두고 좋을 것 같아요. 출장을 복귀하게되면 열심히! 공부해서 이해하기 쉬우시게 정리를 해버리겠습니다~ 이 글을 저녁시간에 올리게 될 것 같은데요! 모두들 정말 맛있는 저녁 드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