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작성자 'Routinee'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오늘은 가족 치료의 주요 방법론에 대하여 글을 작성해 볼 예정인데요. 제가 경험했었던 그리고 실생활에 적용해 봤던 부분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깊게 들여다보는 것은 처음인 것 같아요. 그때에는 그저 급급하게, '빨리 문제를 해소해야지'는 생각에 깊숙이 들여다볼 여유가 없던 것 같아요. 그래서 이어지는 포스팅에서는 블로그에 정리하고 내용을 공유하며 다시 공부를 한 뒤에, 제 경우에 어떻게 적용했는지를 작성하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어지는 포스팅에서는 이론적인 내용을 위주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금요일인데 바람이 굉장히 많이 부네요 ㅠㅠ 그래도 벚꽃이 피는 것은 다음 주니까 그때를 위해서 체력을 충전하시는 주말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1. 구조적 가족치료의 핵심개념 :
- 구조적 가족치료법은 가족을 하나의 복잡한 시스템으로 보고, 이 시스템 내의 구조, 즉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와 경계, 상호작용 패턴 등을 중심으로 치료를 진행합니다.
- 구조적 가족치료의 목적은 비효율적이거나 문제를 일으키는 가족 구조를 개선하여 가족 구성원 각자의 기능을 최적화하고, 가족 전체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 가족 구조 (Family Structure): 가족 구조는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패턴과 이러한 패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고정되는지를 설명합니다.
- 이 구조는 가시적인 규칙과 무형의 규칙으로 구성되며, 가족 구성원 각자의 역할, 권한, 경계를 포함합니다.
1) 서브시스템 (Subsystems):
- 가족 내에는 부부, 부모-자녀, 형제 등 다양한 서브시스템이 존재합니다.
- 각 서브시스템은 고유한 기능을 가지며, 건강한 가족 시스템에서는 이 서브시스템 간의 경계가 명확하고 적절하게 유지됩니다.
2) 경계 (Boundaries):
- 경계는 서브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규정하는 규칙과 한계를 의미합니다.
- 건강한 경계는 구성원 간의 독립성과 동시에 연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너무 엄격한 경계는 고립을 초래할 수 있으며, 너무 헐거운 경계는 역할 혼란과 과도한 침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역할 (Roles):
- 가족 구성원 각자는 가족 내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합니다.
- 구조적 가족치료는 부적절하거나 고정된 역할 분배가 가족 구성원의 발달과 가족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합니다.
4) 가족의 기능성 (Functionality of the Family):
- 가족의 기능성은 가족 구성원들이 개인적 및 집단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 구조적 가족치료는 가족 구조를 변화시켜 가족이 더 기능적으로 작동하도록 돕습니다.
5) 개입 (Interventions):
- 치료자는 가족 구조를 이해하고, 문제가 되는 상호작용 패턴을 식별한 후, 가족 구조를 재편성하기 위한 개입을 합니다.
- 이러한 개입은 가족 구성원 간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적절한 서브시스템 내에서 건설적인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2. 구조적 가족치료의 접근 방법 :
1) 가족 구조 평가:
- 치료의 첫 단계는 가족 구조를 면밀히 평가하는 것입니다.
- 치료자는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의사소통 패턴, 역할 분배, 권력 구조 등을 관찰하며, 가족 구조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합니다.
2) 서브시스템과 경계 인식:
- 가족 내에는 여러 서브시스템(예: 부부, 부모-자녀, 형제)이 존재하며, 각각의 서브시스템은 건강한 기능을 위해 적절한 경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 치료자는 서브시스템 간의 경계가 너무 엄격하거나 헐거운 경우, 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3) 가족 구조의 재조직화:
- 치료자는 가족 구조의 재조직화를 목표로 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부적절한 역할 분배, 경계 문제, 비효율적인 의사소통 패턴 등을 수정하고 개선합니다.
-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새로운 역할과 규칙을 수립하도록 돕습니다.
4) 적극적인 치료자의 역할:
-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치료자는 적극적이고 지시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치료자는 가족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가족 구성원들에게 구체적인 과제와 행동 변경을 지시합니다.
5) 가족 구성원의 참여 촉진:
- 치료 과정은 가족 구성원 모두의 참여를 요구합니다.
- 치료자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새로운 관계 패턴을 실험해 볼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6) 실제 상황에서의 변화 촉진:
- 치료의 최종 목표는 가족 구성원들이 치료 세션 밖에서도 새롭게 학습한 상호작용 패턴과 의사소통 방식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 치료자는 가족이 일상 생활에서 직면하는 실제 문제를 직면하고 정면에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변화의 방식을 제공합니다.
3.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 치료법 :
1) 가족 맵핑(Family Mapping):
- 가족 맵핑은 가족 구조를 시각화하는 기법입니다.
- 치료자는 가족의 상호작용, 경계선, 하위 시스템 등을 도식화하여 가족 구조의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합니다.
2) 가입과 재구조화(Joining and Restructuring):
- 치료자는 가족과의 관계 형성(가입)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고, 가족 체계 내에서 활동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이후 가족 구조에 개입하여 비효율적인 경계선, 역할, 규칙을 재조정(재구조화)합니다.
3) 경계선 조정(Enactments):
- 치료 세션 중 가족 구성원들이 특정 상황을 재연함으로써, 치료자는 경계선이 모호하거나 너무 엄격한 부분을 식별하고 조정합니다.
- 이를 통해 구성원 간의 건강한 상호작용을 촉진합니다.
4) 강화된 경계선 설정(Setting Boundaries):
- 가족 내의 각 하위 시스템 간에 건강한 경계선을 설정합니다.
- 이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역할 혼란을 방지하고, 개인의 독립성을 존중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5) 역할 플레이(Role Playing):
-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역할을 맡아 연기함으로써, 각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새로운 상호작용 방식을 탐색합니다.
6) 가족 재배치(Family Realignments):
- 가족 구성원들 사이의 새로운 역할과 관계를 형성하여, 가족 시스템 내에서 보다 건강한 상호작용을 유도합니다.
7) 직접적인 지시(Directive Techniques):
- 치료자는 때때로 가족 구성원들에게 구체적인 행동 변화를 지시하여 가족 시스템 내의 변화를 촉진합니다.
가족 치료의 방법론들을 한 글에 풀어내기에는 ㅠㅠ 저의 역량의 한계가.. 보기도 힘드실 것 같아서! 열심히 공부하면서 종류별로 작성한 뒤에 마지막글에 정리하여 작성을 해보겠습니다. 내용이 어렵지만 그래도 오랜만에 들여다보니 새로워서 너무 좋습니다. ㅎㅎ 곧 금요일 오후라 퇴근을 하실 것 같은데요!??! 불금을 시작으로 평온한 주말 보내시기를 바랄게요~
반응형
'건강관리 >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5부. 가족 치료의 주요 방법론 : 체계적 가족 치료 (2) | 2024.03.23 |
---|---|
25-4부. 가족 치료의 주요 방법론 : 전략적 치료방법 (19) | 2024.03.22 |
25-2부. 가족 치료의 원칙 : 가족 모두를 위한 심리 치료 (57) | 2024.03.18 |
25-1부. 가족 모두를 위한 심리 치료 : 가족 치료 (50) | 2024.03.17 |
24-2부. 불면증 : 현대인들이 많이 앓는 수면 장애 (42) | 2024.02.23 |